正月 大보름의 由來와 意味 ◐ 甲辰年 2월 24일은 正月대보름 입니다 ◑ 음력 1월 15일로 가장 많은 세시풍속이 전하는 명절의 하나. 상원(上元)이라고도한다.
생업과 긴밀한 연관이 있어서 농촌에서는 갖가지놀이와 행사, 그리고 방액등이 이 날을 전후로 행하여진다 정월은 한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일년을 점쳐 보는 달이다.
'정월은 천지인(天地人) 삼자가 합일하고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날' 이라고 합니다.
음력을 사용하는 전통사회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보면 상징이었습니다. 음양사상에 의하면 태양을 양(陽)이라 하여 남성으로 인격화 되고, 음(陰)이라 하여 여성으로 인격화됩니다.
풍요의 상징적 의미로 자리매김합니다. 태고적 풍습은 정월 대보름을 설처럼 여기기도 하였습니다. 조선후기에 간행된 '동국시세기'에 한 편 중국에서는 한나라때부터 또한 일본에서도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답니다. 정월 대보름 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다시 씨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달은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였고, 농사를 시작하는 첫달이 가득차는 가족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정월대보름의 놀이 ◐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5일로서 일년 중 처음 맞는 보름 날이다. 이 날은 일년 중 첫보름이라 중시하며 그 해 농사의 풍년, 흉년과 그 해의 길흉을 점쳤다 새벽에 귀 밝이 술을 ㅁ마시고 부럼을 깨물며,오곡밥과 약식을 먹는다. 또한 쥐불놀이, 달맞이 등 여려가지 민속놀이를 한다 [1, 지신발 ] 동네마다 농악대를 조직하여 집집마다 다니며, 땅을 다스리는 신에게 인사를 드리고 못된 귀신을 물리쳐 한 해동안 집주인은 음식을 [2, 달집 태우기] 달이 떠 오를 때 동네사람들이 넓은 빈터에 모여 [3, 복조리 걸어두기] 대보름날 아침에 복조리를 사서 걸어 둔다. [4, 줄다리기] 짚 또는 칡으로 큰 줄을 수십발이 되게 길게 꼬고, 몇몇 마을을 둘로 편을 가르고, 줄을 서로 잡아 당겨 승부를 가린다. 이긴 마을에 풍년이 든다고 전해지기도 했다. [ 5, 달맞이] 달이 동쪽에서 솟아 오를 때면 사람들은 달맞이를 위하여 뒷동산에 올라 간다. 동쪽하늘이 붉어지고, 대보름달이 솟을 때, 풍년들기를 기원하고, 처녀총각은 시집, 장가가기를 기원하였다. 그러면 소원이 성취된다고 믿었다. 달빛이 희면 비가 많고, 붉으면 가뭄이 있으며, 달빛이 진하면 풍년이 들고 달빛이 흐리면 흉년년이 들 것이라 년동안의 농사를 미리 점치기도 하였다. [6, 횃불 싸움] 마을의 청년들이 가족 수대로 싸리나 짚으로 산 위로 올라가서 서로 마주 보고 선 다음, 달이 떠 오를 때 달려나가 싸우는 경기이다.
밤에 들에 나가서 논둑, 밭둑을 태우는데 이것을 쥐불놀이라고 한다. 쥐불놀이는 못된 귀신을 쫓아 내고, 신성하게 봄을 맞이 한다는 것과 또 쥐불놀이를 하면 일년동안 병이 없고,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나지 않을 [8, 더위 팔기; 매서(賣暑]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동네 사람들을 만나는 대로 서로 상대방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라고 말하며 더위를 판다. 이렇게 하면 그 해 일년동안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믿었다.
[9, 액날려 보내기 : 액막이 연날리기] 정월 초에 아이들은 연(鳶)에다 집안 식구들의 이름과 각자의 생년월일을 쓰고 "신액소멸(身厄消滅)" 이라는 글자를 쓴 연을 띄우다가 보름날 해질 무렵에 연줄을 끊어 날려보내는데, 액을 멀리 보낸다는 의미입니다.
일년동안의 건강을 빌며, 자기나이만큼 불 위를 뛰어 넘는 놀이와 잰부닥불 피우기와 윷놀이 등이 있다. ◐ 정월대보름의 음식 ◑ 한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소망이 가득 담긴 대보름 음식으로 '오곡밥, 약밥'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대보름은 나물명절이라고 할 만큼 [부럼 깨물기] 아침일찍부터 부럼이라고 하는 밤, 호두, 잣, 은행등을 소리나게 깨물어 먹으면 1년 내내 부스럼이 나지 않을 뿐 아니라 이가 단단해진다고 합니다. [오곡밥]
여러가지 곡식을 넣어 지어 먹는다는 뜻에서 곡식의 총칭인 오곡이라는 말을 사용하였습니다. [진채식먹기; (묵은 나물먹기)] 취, 호박, 고비, 고사리, 가지, 시래기 등을 [귀밝이술 마시기] 이른 아침에 청주를 데우지 않고 마시는데 甲辰年 2월 24일은 정월 대보름입니다 달님께 온가족 소망을 빌며 올 한해 건강하십시요!
받은자료글 편집입니다! 2024.2.23.아띠할멈.().
|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