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곡 '바위고개' 이야기 ⚘
순이는 건너 마을 공장에 다녔는 데, 순이가 공장에서 산길로 돌아 올때면, 바우는 나무를 다하고 바위 뒤에 숨어 있다가, 넘어서 집으로 돌아 오곤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바우는 머슴살이 하러 고향을 떠났고, 순 이는 혼자남아 계속 공장에 다녔 는데, 너무나 외롭고 쓸쓸했습니다. (1절) 옛님이 그리워 눈물 납니다 고 개위에 숨어서 기다리는 님 그 리워 그리워 눈물납니다. 우리 님이 즐겨즐겨 꺽어 주던 꽃 님은 가고 없어도 잘도 피었네 님은 가고 없어도 잘도 피었네" 정말 열심히 일을하여, 돈을 모아 순이를 만나러 고향에 돌아왔는데, 순이가 시집을 갔다는 이야기를 듣고, 안고서 하염없이 울고 울었답니다. 옛님이 그리워 하도 그리워, 십년간 머슴살이 하도 서러워, 진달래꽃 안고서 눈물집니다" 한국의 슈베르트라 불리는 "이흥렬(1909~1980)"이, 작곡 한 노래가사로, 그는 함경남도 원산에서 대지주의 아들로 태 어나, 일본으로 유학하여 '동양음악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하고, 귀국 후인 1932년에 이 곡을 만들었는데, "10년간 머슴살이 하도 서러워" 라는 가사로,
이 노래에 담았기에, 이 곡은 일종 의 애국가요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방 후에는 우리나라의 중학교, 고등학교 음악교과 서를 만들었으나, 그가 과거에 친일행적이 있다하여 "친일인 명사전"에 올라갔는데, 우리나라의 극단적인 친일판단에 대하여, 이야기를 한번 해보고 싶었습니다. "문예춘추"를 매달 빠지 지 않고 봤었는데, 항상 하는 말이, "일본을 이길려면, 일본말 을 할 줄 알아야 하고,
극일극일 하면서, 말 로만 해서는 안된다" 라고 말입니다. 그리고 덧붙여서 하는 말, "일본사람들 정직하고 부지런한 것은 꼭 배워야 한다" 라 고 하였습니다.
저는 일제 강점기 때의 한국가곡 중, 이 "바우 고개"를 가장 좋아합니다. 그 이유는 서글픈 가사와 서글픈 멜로디가, 그때의 우리나라의 입장과 너무 같았다고 생각해 서 입니다. 수많은 성악가들 이 이 노래를 불렀으나, 저는 중앙대음대 성악교수였던 "메조 소프라노 정영자(1946~ )"가, 이 노래를 가장 잘 불렀다고 생각합니다. 듣고 있으면 저절로 눈물이 나는 것 같습니다. ♡♡ 바•위•고•개 ♡♡ 받은 카톡글 편집입니다! 2023.6.1.아띠할멈.(). https://sinmyja430.tistory.com
|
카테고리 없음